✜ 추석맞이 이산가족 위령미사
일시 : 9/23(토) 10시 30분 묵주기도, 11시
미사 장소 : 참회와 속죄의 성당
주례: 의정부교구장 이기헌 주교
공동집전: 의정부교구 사제단
주관: 의정부교구 민족화해위원회
문의: 031-850-1501~3
✜ 2023 DMZ 평화의길
지난 7월 27일부터 31일까지 진행된 2023 DMZ 평화의 길(2차)을 무사히 마쳤습니다. 90명의 참가자들은 DMZ 평화의길을 따라 걸으며, 한반도의 분단과 현재의 상황을 되새기는 시간을 가졌습니다. 무더운 여름날 땀 흘리며 걷고. 서로를 응원했던 순간들은 참가자들 간의 유대감을 높이고. 평화의 중요성을 실감하게 만들었습니다. 이번 행사가 참가자들의 활발한 참여와 열정으로 한반도의 평화와 화해를 추구하는 소중한 계기가 되었으며 하는 바람과 함께, 앞으로도 지속적인 관심과 참여 부탁드립니다.
✜ 8월 고양-파주 평화지기 월례미사 안내
가을이 다가오면서, 우리에게 특별한 순간이 찾아왔습니다. 가톨릭동북아평화연구소가 기획한 ‘2023 평화 문화제’에 초대합니다. 이 문화제는 두 손에 미래를 안고 있는 한·일 청년들이 서로의 손을 잡고 평화에 대한 소망을 노래하고 기도하는 소중한 시간이 될 것입니다. 이 가을, 함께 우리의 마음을 평화로 가득 채워보아요~^^
초대 날짜와 시간 그리고 장소
9월 23일(토), 18시 30분~20시, 참회와 속죄의 성당
<떼제기도> 9월 24일(일), 14시~18시,
백석동성당 <평화 뮤직&토크 콘서트, 폐막미사>
✜ 9월 고양-파주 평화지기 월례미사 안내
✜ 9월 ‘민족화해 하늘지기’ 월례미사 안내
♣‘민족화해 하늘지기’ 월례미사 미사지향 신청 방법♣
- 미사지향으로 기억하고 싶은 분의 성함을 생/연미사 구분해서 031-850-1503으로 문자를 보내 주세요. (40자 이상은 두 번에 나눠서 보내 주세요^^)
- 신청 문자는 매월 15일 마감입니다.
- 8월 15일까지 보내 주시는 미사 지향은 ‘8월 24일(목)’에 봉헌되며, 매월 미사지향 명단을 후원회지에 기재합니다.
<민족화해 하늘지기> 9월호
제37차 세계청년대회(WYD)에서 "한반도 평화 실현 서명 운동"을 하며
김예슬 아기아가타
(서울대교구 포이동성당, 의정부교구 가톨릭동북아평화연구소)
의정부교구 민족화해위원회에서는 지난 8월 1일부터 6일 포루투갈 리스본에서 열린 제37차 세계청년대회에 이종원 신부님(동두천성당 주임)과 청년 2명을 파견하여 '한반도 평화 실현 서명 운동(이하 평화서명 캠페인)'을 진행했습니다. 이번 호 권두언에서는 캠페인에 참여한 청년 중 한 명인 김예슬 아기아가타의 이야기를 담았습니다.
<민족화해 하늘지기> 9월호 - 사목단상
봉사는 육십부터 ….
안종찬 나보르 신부 (법원리성당 주임신부)
본당 설립 60주년, 본당이 환갑을 맞이하였다.
기념행사 중에 성당의 역사를 볼 수 있는 사진들을 편집하여 영상으로 제작하여 보여주었고, 다들 옛 추억을 떠올리며 사진이 바뀔 때마다 한마디씩 하셨다. 문득 든 생각에, 60세가 안 되신 분 손들어 보라고 얘기하자 십여 명 정도가 손을 들었다. 교중 미사 참석 인원 백여 명 중에 열 명, 더구나 주일학교 미사도 따로 없으니 신자 중 60세 이상 비중이 90퍼센트라 해도 틀린 말은 아닐 것이다.
<민족화해 하늘지기> 9월호 - 한반도 평화를 위하여
손톱깍이에 담긴 추억
장혜원 (북한대학교대학원 박사수료)
탈북민들이 남한 생활을 하면서 갖게 되는 한국에 대한 애정은 어쩌면 한국에서 태어난 사람들보다 더 각별할 수도 있다. 예전에 살았던 북한과 비교해 보면 너무나도 좋은 점이 많기 때문이다. 요즘 우리 사회에서 ‘라떼’로 대변되는 단순한 세대 차이와는 비교가 안 될 정도다.
20대 초반 어린 나이에 북한을 떠나 이젠 곧 50을 바라보는 지인 한 분이 있다. 이분의 한국 사랑은 참으로 각별하다. 특히, 손톱깎이에 관한 얘기를 할 때 나도 모르게 격한 공감을 표현했던 적이 있다. 그분은 한국 입국 초기, 즉 20여 년 전에 선물로 받은 손톱깎이 세트를 여전히 사용하고 계신단다. 지금도 새것처럼 성능이 좋다고 하셨다. 나도 동네 교회에서 교회 로고가 새겨진 손톱깎이 세트를 받은 적이 있다. 지금도 잘 쓰고 있다. 아마도 10년 이상은 문제없이 사용할 수 있을 것 같다. 한국의 손톱깎이는 세계 일류 상품이라고 하더니 과연 이름값을 하는 것 같다.
"Monthly Newsletter subscribe"
Stories and Peace Education Materials from CRKP
delivered to your inbox once a month